요즘 스마트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테더링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른바 "APN 우회"를 활용한 방식인데, 마치 폐쇄된 도로의 우회로를 찾아내는 것처럼, 제한된 환경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기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APN이란 무엇이며 이를 우회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먼저 APN이 무엇인지 확인해봅시다.
1. APN이란 무엇인가?
**APN(Access Point Name)**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네트워크 관문"입니다. 통신사가 제공하는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기기가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지를 결정하는 APN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비유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비유: 공항의 게이트
APN은 마치 공항의 출입문(게이트)과 같습니다.
- 비행기가 공항을 통해 목적지로 날아가려면, 특정 게이트를 통해 승객과 화물을 싣고 출발해야 합니다.
- 이때, **게이트(APN)**는 비행기가 어떤 항공사 소속인지, 어떤 화물을 싣고 있는지, 어떤 노선을 통해 가는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 통신사마다 각기 다른 게이트 설정이 있으며, 이 설정을 기반으로 특정 항공편만 출입하도록 허가하거나, 화물 종류에 따라 별도의 요금을 부과할 수도 있습니다.
APN TEC
APN은 네트워크의 "종단점"과 유사한 개념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경로를 설정합니다. APN은 크게 두 가지 주요 정보를 포함합니다:
- PDN (Packet Data Network)의 주소:
- 데이터를 전송할 네트워크의 주소를 나타냅니다.
-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하거나 MMS(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경로를 정의합니다.
- 특정 설정 정보:
- 인증 방식: 통신사가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 프로토콜 설정: IPv4, IPv6 또는 둘 다를 사용하는지.
- 게이트웨이 정보: 네트워크의 어떤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보낼 것인지.
APN의 구성요소
APN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 APN 이름:
- 예: internet.kt.com 또는 lte.sktelecom.com.
- 이는 기기가 연결하려는 통신사의 네트워크를 식별합니다.
- MCC (Mobile Country Code)와 MNC (Mobile Network Code):
- 통신사의 국가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코드.
- 예: 대한민국의 KT는 MCC가 450, MNC가 08입니다.
- APN 타입:
- default: 기본 인터넷 데이터 연결.
- m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 supl: 위치 기반 서비스(GPS 지원) 데이터.
- Proxy 및 Port:
- 데이터를 중계하거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정.
APN이 중요한 이유
APN 설정을 통해 통신사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 데이터 요금 관리:
- 예를 들어, 일반 데이터와 테더링 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하거나, 특정 데이터만 무료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비유: 같은 공항에서도 화물 운송과 여객 운송이 각각 다른 게이트를 이용하는 것처럼, 데이터 유형에 따라 다른 APN 경로를 설정함.)
- 서비스 최적화:
- 예를 들어,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고속 데이터 경로를, 텍스트 전송은 저속 경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최적화합니다.
- 보안 강화:
- 데이터가 허가된 경로로만 전송되도록 하여 해킹이나 불법 접속을 방지합니다.
2. APN 우회란?
APN 우회란 통신사가 설정한 기본 APN의 제한을 피하고, 대안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통신사는 테더링 데이터를 제한하기 위해 별도의 APN을 할당하지만, 사용자가 APN 설정을 변경하거나 커스텀 APN을 활용하면 이러한 제한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치 고속도로에서 통행료를 내지 않기 위해 작은 시골길을 찾아가는 것과 비슷합니다. 우회로를 찾으면 더 많은 자유를 누릴 수 있지만, 이는 통신사의 정책에 반하는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통신사 정책과 APN
통신사들은 APN 설정을 기반으로 데이터 사용량을 제한하거나, 특정 서비스에 대해 요금을 부과합니다. 예를 들어:
- 테더링(핫스팟) 데이터를 일반 데이터와 별도로 제한하려면, 테더링에 별도의 APN을 할당합니다.
-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라도 일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속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APN을 설정합니다.
APN 우회는 기본적으로 통신사의 제한을 피하고 데이터를 무제한 또는 별도 요금 부과 없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APN 설정을 조작하거나, 통신사에서 제공하지 않은 커스텀 APN을 추가로 설정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APN 우회 기본 원리
- 통신사의 APN 구조 이해:
- 통신사는 데이터를 일반 데이터, 테더링 데이터, MMS 데이터 등으로 분리 관리하기 위해 여러 APN을 사용합니다.
- 예를 들어, 테더링은 별도의 APN 경로로 트래픽을 처리하고, 이 경로에 데이터 제한을 두거나 속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 APN 우회는 일반 데이터 APN을 사용하여 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다른 APN을 사용해 제한을 피하려는 시도입니다.
- 우회 방식:
- 기본 APN 수정: 기존의 통신사 APN을 수정해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사용하는 방식.
- 커스텀 APN 추가: 새로운 APN 프로파일을 추가하여 통신사 정책을 우회.
- VPN과 조합: 데이터를 APN에서 암호화된 VPN으로 라우팅하여 통신사가 트래픽의 성격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함.
한마디로 통신사들이 무제한 데이터를 모바일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apn을 설정해놨기에 테더링 핫스팟으로 뿌려지는 인터넷에는 무제한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아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통신사가 이를 막아둔 것이죠.
이러한 정책은 무분별하게 악용햐여 스마트폰을 공유기처럼 사용하는 사용자를 제제할 수 있지만 같은 통신사의 요금제를 이용하는 개인 사용자는 조금 억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apn 우회를 방법론 적으로만 설명하고있습니다.
APN 우회 방법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1. 안드로이드에서 APN 우회 설정
안드로이드는 APN 설정을 직접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APN 설정 메뉴 접근: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모바일 네트워크 → APN (접속 이름) 메뉴로 이동.
- 새 APN 추가 또는 기존 APN 수정:
- 새 APN 추가: 우회에 사용할 새로운 APN을 추가.
- 기존 APN 수정: 통신사에서 제공한 기본 APN 정보를 일부 수정.
- APN 설정 정보 입력:
- 일반적으로 데이터 우회를 위해 사용하는 정보:
- 이름: 임의로 설정 가능 (예: Custom APN)
- APN: internet 또는 default
- 인증 방식: 기본 설정(없음) 또는 PAP/CHAP
- MMSC, MMS 프록시: 비워두기
- APN 타입: default,supl 또는 internet
- 일반적으로 데이터 우회를 위해 사용하는 정보:
- APN 저장 후 활성화:
- 새로 추가하거나 수정한 APN을 선택해 활성화.
- 테더링 데이터 우회:
- 테더링 사용 시에도 동일한 APN이 적용되도록 설정하거나, VPN을 병행해 트래픽을 숨기는 방식 사용.
2. 아이폰에서 APN 우회 설정
아이폰은 기본 설정에서 APN을 수정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프로파일(Profile) 파일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 프로파일 생성:
- APN 설정을 포함한 구성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Apple Configurator 또는 프로파일 생성 사이트를 사용.
- 필요한 APN 정보:
- APN: internet
- 사용자 이름/비밀번호: 비워두기 또는 통신사 기본값.
- APN 타입: default 또는 internet.
- 프로파일 설치:
- 생성된 프로파일 파일(.mobileconfig)을 이메일이나 iCloud Drive를 통해 아이폰으로 전송.
- 아이폰에서 프로파일을 열고 설치.
- 설치 후 활성화:
- 설정 → 일반 → 프로파일에서 새로 설치한 프로파일을 확인.
- 데이터 트래픽이 새로운 APN 경로를 통해 작동하는지 테스트.
하지만 현재 apn 우회에 대한 방법은 거의 다 막혀있는 상태입니다.
현재는 프록시서버를 거쳐 모바일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로 사용하는 방법은 있는 상태입니다.
해당 기술에 대한 이론과 방법론은 다음 글에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에 남겨주세요
댓글에 남겨주신 내용은
추후 정리해서 올려드리겠습니다
이웃 신청하시면 업로드 시 알려드릴게요!
-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쉘이란? Shell 기본 개념 이해하기 (0) | 2024.04.30 |
---|---|
컨테이너 이미지 이해하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기본 (0) | 2024.04.26 |
도커(Docker)란 무엇인가? (0) | 2024.04.26 |
커널(Kernel)이란 무엇일까? (개념, 이중 모드, 쉘의 역할) (1) | 2024.04.23 |
하이퍼바이저란 무엇일까? Hypervisor 개념 알아보기 (1)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