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 우리는 AI와 ‘대화’하며 일합니다.
하지만 같은 질문이라도 어떻게 묻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요약해줘”와
“블로그 게시용으로 요약해줘. 문어체를 사용하고, 핵심 키워드는 굵게 강조해줘”는
전혀 다른 응답을 이끌어내죠.
이처럼 질문의 품질이 답의 품질을 결정하기에,
이제는 질문조차도 ‘설계’해야 합니다.
그걸 전문 용어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고 부릅니다.
2025년 구글은 이 프롬프트 설계 기술에 대해 무려 69페이지에 달하는 공식 백서를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이 글은 그 백서를 가장 실용적으로 정리한 핵심 가이드입니다.
아래는 구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백서 주소입니다.
https://www.kaggle.com/whitepaper-prompt-engineering
Prompt Engineering
www.kaggle.com
1️⃣ 프롬프트에도 전략이 있다 – 상황별 프롬프트 기법
구글은 단순히 ‘잘 묻는 법’이 아니라, 목적에 맞는 질문 전략을 소개합니다.
|
|
|
|
|
|
💡 TIP: 복잡한 사고가 필요한 문제라면 무조건 CoT 방식이 유리합니다. ‘생각하는 흐름’을 유도해야 AI가 덜 헷갈려요.
2️⃣ 프롬프트 잘 쓰는 10가지 꿀팁
어떤 문장 하나를 어떻게 고치느냐에 따라 응답의 질이 확 바뀝니다.
구글은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10가지 실전 팁을 제시합니다:
1. 예시를 보여줘라 – 원하는 스타일이 있다면 미리 샘플을 주자. |
2. 짧고 명확하게 – "이 글 요약해줘"보다 "3줄 요약, 문어체로"가 낫다. |
3. 구체적으로 말하자 – 원하는 형식, 톤, 길이를 말로 정리하자. |
4. 금지 대신 지시 – “이렇게 하지 마”보다 “이렇게 해”가 더 효과적이다. |
5. 응답 길이 설정하기 – "한 문장 요약", "200자 이내" 등 분량을 정하자. |
6. 변수화하기 – 반복 질문은 $제품명$처럼 템플릿으로 만들면 편하다. |
7. 문체도 실험해보자 – 공손체, 캐주얼, 마케팅용 등 다양하게 써보자. |
8. 다양한 분류 제공 – 분류 문제에는 충분한 예시가 필요하다. |
9. 모델이 바뀌면 프롬프트도 바꾸자 – 예전 프롬프트가 안 먹힐 수도 있다. |
10. 출력 형식도 명시하자 – 특히 API 응답이라면 JSON으로 받아야 편하다. |
📌 예시 전환
- ❌ 나쁜 질문: “우리 회사 소개해줘.”
- ✅ 좋은 질문: “AI 스타트업인 우리 회사를, 3줄로, 투자자를 위한 소개문으로 요약해줘. 간결하고 강렬하게.”
3️⃣ 모델 설정도 같이 조절하자
프롬프트를 아무리 잘 짜도, 모델 설정이 적절하지 않으면 기대한 결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 Temperature (창의성)
→ 낮을수록 정확성↑, 높을수록 창의성↑
→ 0.2 = 논문 요약용 / 0.8 = 슬로건 생성용 - Top-k / Top-p (다양성)
→ 다양한 응답을 보고 싶을 땐 top-p 높이기 - Max tokens (최대 길이 제한)
→ “응답이 길어졌어요”를 막고 싶다면 여기서 제한
💡 실전 팁: “간결하게 써달라”는 말보다 아예 max_tokens: 150처럼 숫자로 제한하는 게 정확합니다.
4️⃣ 프롬프트도 문서화하면 관리가 쉬워진다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수십 개의 프롬프트를 관리하게 됩니다.
구글은 아래처럼 프롬프트 카드를 작성해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라고 권합니다:
항목 | 예시 |
이름 | product_summary_prompt |
목적 | 제품 상세 설명 요약 |
모델 | Gemini 1.5 Pro |
프롬프트 | "다음 내용을 3줄로 요약해줘: ..." |
출력 예시 | “이 제품은 …” |
📌 Notion, 구글 시트, Vertex AI Prompt Library에서 이렇게 관리하면 실무에서 매우 편리합니다.
5️⃣ 기술은 윤리를 만나야 완성된다
AI를 설계하고 활용하는 우리가 반드시 인지해야 할 마지막 주제는 윤리입니다.
- AI에게 성차별적이거나 편향된 답변을 유도하지 않기
- 가짜 뉴스, 공격적 콘텐츠를 의도적으로 생성하지 않기
- 개인정보를 포함한 민감한 데이터를 요구하지 않기
✅ 프롬프트에 이런 조건을 넣어보세요
“공정하고 중립적인 어조로 요약해줘.”
이것만으로도 결과가 훨씬 안정적으로 바뀝니다.
마무리하며: 프롬프트는 말 걸기의 기술이다
결국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AI와 말 잘 거는 법입니다.
무엇을 알고 싶은지, 어떤 형식으로 원하는지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능력,
그게 바로 미래의 새로운 ‘언어 감각’입니다.
🧠 한 줄 요약:
AI는 똑똑하지만, 프롬프트가 똑똑해야 결과도 똑똑하다.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에 남겨주세요
댓글에 남겨주신 내용은
추후 정리해서 올려드리겠습니다
구독하시면 업로드 시 알려드릴게요!
-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